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7년간 발생한 싱크홀 1400여 개 지도에 반영
거주지 근처 싱크홀 찾을 수 있게 검색란도 만들어
싱크홀 지도 만든 이유…"나라가 안 하면 나라도 하자"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지난주 이 시간에 저희가 전문가 모시고 수도권 땅 꺼짐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살펴봤었는데요.
00:05땅 꺼짐 현상이 계속되니까 시민들 사이에서 불안이 가중되고 있어서 급기야는 직접 싱크홀 지도를 만드는 사람까지 등장을 했다면서요.
00:15네 그렇습니다. 저도 사실은 퇴근길에 지난번 마포구 애호개혁 쪽이었죠.
00:20싱크홀이 발생했다고 해서 상당히 놀랐었고 이게 주변에서 내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기치 못한 사고가 될 수 있다는 생각에 상당히 불안한 상황입니다.
00:29그래서 지금 이런 상황 때문에 정부에서 이런 것들을 먼저 공개하기 이전에 네티즌들이 모여서 먼저 이런 지도를 만드는 그런 상황까지도 이어진 것 같습니다.
00:38그런데 가장 궁금한 게 이제 땅 꺼짐 현상이 너무 빈번하게 일어나다 보니까 만약에 매가 도로를 가다가 피해를 당하면 어디다가 책임을 물어야 되는가 이게 좀 궁금하실 것 같아요.
00:50사실 이제 그 원인들 그 장소들이 다는 경우에 조금씩 차이가 있긴 한데 일단 도로에서 싱크홀이 발생을 했다라고 하면 그 도로가 국도냐 지방도냐에 따라서 국가나 혹은 지방자치단체의 그런 관리 책임을 물어볼 수가 있습니다.
01:04또 한편으로는 이제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봤을 때 예를 들어 상하수도의 그런 관리 문제였다라고 한다면 당연히 지자체의 책임이 있는 것이고
01:12그게 아니라 뭐 지하철 공사 터널 공사 등을 하다가 발생한 것이다 라고 한다면 관련 업체나 시공사 측에 또 책임을 물을 수가 있습니다.
01:21또 한편으로는 이런 도로 관리상의 문제나 혹은 지하 그런 시설상의 문제가 중첩적으로 원인이 된 경우도 발생할 수 있는데
01:28그럴 경우에는 정부 자체 혹은 관련된 그런 업체들에 대해서 모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가 있습니다.
01:34알겠습니다. 싱크홀이라는 굉장히 불안한 상황을 맞아서 우리가 스스로 지도를 만들어야 하는 그런 거는 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01:43저희는 60초 후에 오겠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