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저께
지난 25일 오전 9시 30분 경북 영양군의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주요 간부들이 모인 가운데 비상대책회의가 열렸다. 22일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걷잡을 수 없이 번지면서 센터 인근 지역까지 불길이 도달했기 때문이다.
 
이곳은 국내 최대 규모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시설로 한반도에서 사라졌거나 얼마 남지 않은 동·식물들을 복원하는 연구를 수행 중이다. 센터는 산불로부터 멸종위기종들을 지키기 위해 산불 확산 반대 방향에 있는 지역으로 대피시키기로 했다.
 

 ━
  조류는 서천, 어류·양서류는 울진 대피 
  이송은 25일부터 26일까지 이틀에 걸쳐 진행됐다. 멸종위기 Ⅰ급으로 지정된 먹황새와 참수리는 충남 서천에 있는 국립생태원 본원으로 옮겨졌다. 멸종위기 Ⅱ급 조류인 양비둘기도 같은 곳으로 이송됐다.
 
멸종위기 어류 5종과 양서류인 금개구리, 파충류인 남생이는 울진에 있는 경북도민물고기연구센터로 대피했다. 만년콩 등 희귀 식물들의 경우 화재를 피할 수 있는 센터 내 지하 창고로 옮겼다. 센터는 27일 멸종위기 동식물 28종, 4900여 개체에 대한 대피 조치를 완료했다고 했다. 
 
정길상 멸종위기복원센터 복원연구실장은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멸종위기 동식물들을 여기보다 안전한 곳으로 모두 보내 놓은 상태”라며 “연구진이 현장으로 같이 출동해 직접 관리하고 있다”고 했다. 초대형 산불은 센터 인근 수 킬로미터까지 접근했지만, 다행히 불길이 잡히면서 센터에 직접적인 피해는 없었다고 한다.
 

 ━
  반달가슴곰·산양, 산불 지역...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4421?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