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관영 매체를 통해 ‘하늘의 지휘소’로 불리는 공중조기경보통제기(조기경보기)를 27일 처음 공개했다. 최근 대공 미사일 시험 발사에 이어 북한판 조기경보기까지 공개한 건 취약한 방공망을 보강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다만 군 당국은 “정상 운영이 가능할 지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27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5~26일 ‘무인항공기술연합체’와 ‘탐지전자전연구집단’의 국방과학 연구사업을 지도했다고 전했다. 김정은이 이들이 개발·생산하고 있는 각종 무인 정찰기와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자폭 공격형 무인기의 성능 시험을 참관했다면서다.
김정은은 이 자리에서 “무인 장비와 인공지능 기술 분야는 최우선으로 발전시켜야 할 부문”이라면서 “이는 우리 군대의 각종 정보 수집 작전 능력을 제고해주며 적의 전투 수단들을 무력화하는 데 위력을 발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매체는 “시험에서는 각각의 전략 대상들과 지상·해상에서 적군의 활동을 추적 감시할 수 있는 탐지 능력을 갖춘 신형 무인 전략 정찰기의 혁신적 성능이 확증됐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김정은이 조기경보기로 보이는 항공기에 올라 내부를 둘러보는 사진도 보도했다. 기내엔 콘솔·대형 디스플레이도 여러 대 있었다.
북한판 조기경보기는 외형상 러시아제 일류신(IL)-76 수송기에 레이돔(radome·레이더의 안테나 등을 보호하는 원형 덮개)’을 부착한 모습이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중국·인도 등이 레이돔 방식의 조기경보기를 운용한다.
앞서 북한 전문 매체...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4044?cloc=dailymotion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27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5~26일 ‘무인항공기술연합체’와 ‘탐지전자전연구집단’의 국방과학 연구사업을 지도했다고 전했다. 김정은이 이들이 개발·생산하고 있는 각종 무인 정찰기와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자폭 공격형 무인기의 성능 시험을 참관했다면서다.
김정은은 이 자리에서 “무인 장비와 인공지능 기술 분야는 최우선으로 발전시켜야 할 부문”이라면서 “이는 우리 군대의 각종 정보 수집 작전 능력을 제고해주며 적의 전투 수단들을 무력화하는 데 위력을 발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매체는 “시험에서는 각각의 전략 대상들과 지상·해상에서 적군의 활동을 추적 감시할 수 있는 탐지 능력을 갖춘 신형 무인 전략 정찰기의 혁신적 성능이 확증됐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김정은이 조기경보기로 보이는 항공기에 올라 내부를 둘러보는 사진도 보도했다. 기내엔 콘솔·대형 디스플레이도 여러 대 있었다.
북한판 조기경보기는 외형상 러시아제 일류신(IL)-76 수송기에 레이돔(radome·레이더의 안테나 등을 보호하는 원형 덮개)’을 부착한 모습이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중국·인도 등이 레이돔 방식의 조기경보기를 운용한다.
앞서 북한 전문 매체...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4044?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