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45%에 달했던 대중국 관세를 한 달여만에 30%로 낮추며 중국과 ‘관세 휴전’에 합의하자, 현지에선 “미국이 한계를 노출한 것”이란 평가가 나왔다.
12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중국과 (무역)관계의 완전한 재설정(total reset)을 이뤘다”며 승리를 주장했지만, “추가 협의를 이어간다”는 것 외에 중국측의 구체적 양보안을 제시하지 못했다.
━
"트럼프의 접근 방식 한계 노출"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보도에서 “양국이 관세 부과를 유예하기로 합의한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공격적 접근 방식의 한계를 다시 한 번 보여준 사례”라며 “관세가 오히려 미국 기업에게 부담이 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감당할 수 없게 된 것”이라고 했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관세 부과 결정 이후 중국 공장에서의 수입이 사실상 차단되면서 상당수의 미국 수입업체는 파산 상황에 내몰렸다. NYT와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에 생산시설을 둔 미 업체들은 미·중 간의 관세 유예 발표 직후 현지 공장을 급하게 재가동하기 시작했다.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중국 전문가 스콧 케네디는 NYT에 “제네바 합의는 미국의 거의 완전한 후퇴를 의미한다”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강력한 보복이 효과를 거뒀음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5572?cloc=dailymotion
12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중국과 (무역)관계의 완전한 재설정(total reset)을 이뤘다”며 승리를 주장했지만, “추가 협의를 이어간다”는 것 외에 중국측의 구체적 양보안을 제시하지 못했다.
━
"트럼프의 접근 방식 한계 노출"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보도에서 “양국이 관세 부과를 유예하기로 합의한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공격적 접근 방식의 한계를 다시 한 번 보여준 사례”라며 “관세가 오히려 미국 기업에게 부담이 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감당할 수 없게 된 것”이라고 했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관세 부과 결정 이후 중국 공장에서의 수입이 사실상 차단되면서 상당수의 미국 수입업체는 파산 상황에 내몰렸다. NYT와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에 생산시설을 둔 미 업체들은 미·중 간의 관세 유예 발표 직후 현지 공장을 급하게 재가동하기 시작했다.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중국 전문가 스콧 케네디는 NYT에 “제네바 합의는 미국의 거의 완전한 후퇴를 의미한다”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강력한 보복이 효과를 거뒀음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5572?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한글자막 제공 및 자막 제공 및 자막 제공 및 자막 제공 및 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00:30한글자막 제공 및 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01:00한글자막 제공 및 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