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8일 끝난 경기 고양시의회 제292회 임시회에서 고양시의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이 대규모로 삭감된 것과 관련, 이동환 고양시장이 “시민을 외면하고 도시 발전을 가로막는 비상식적인 결정”이라고 31일 유감을 표했다. 이 시장은 이날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시장 관심 예산이라는 이유만으로 수백억원의 민생·경제 사업이 거의 회기마다 무차별 삭감되고 있다”며 이같이 비판했다.
고양시의회는 이번 임시회를 통해 추경 예산안 중 약 161억원을 삭감했다. 삭감 대상에는 공립수목원·공립박물관 조성, 원당역세권 발전계획, 킨텍스 지원부지 활성화, 창릉천 우수저류시설, 일산호수공원 북카페 조성 등 총 47건 주요 사업이 포함됐다. 이 가운데 상당수는 3차례 이상, 많게는 7차례나 반복적으로 삭감된 ‘단골 삭감사업’들이다. 번번이 삭감됐던 도시기본계획,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등 핵심 도시계획 사업들은 가까스로 편성은 됐으나 이 중 도시기본계획, 도로건설관리계획은 대폭 감액돼 실제 추진 시 차질이 불가피한 상태로 시는 보고 있다.
특히 이동환 시장은 인공지능·IT(정보기술) 기반 ‘거점형 스마트시티 사업’을 대표 사례로 들며 시의회를 비판했다. 이 시장은 “24시간 민원서비스, 교통흐름 최적화, 재난예방, 드론 순찰, 자율주행버스 등 시민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높일 스마트시티 사업은 단순한 예산 소비가 아니라 도시에 대한 혁신적 투자”라며 “정부가 약 400억원 중 절반을 지원하는데도, 시의회는 고양시 부담분조차 온전히 편성하지 않고 매번 삭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사업은 고양시가 전국 지자체와의 경쟁 끝에 국토부 공모에 선정된 것이다. 그러나 시의회 삭감으로 사업 자체가 흔들리는 상황이다. 이 시장은 “다른 지자체는 예산이 없어 하고 싶어도 못 하는 사업인데, 고양시의회는 스스로 하지 말자고 한다. 이것이 시민을 위한 결정인...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4922?cloc=dailymotion
고양시의회는 이번 임시회를 통해 추경 예산안 중 약 161억원을 삭감했다. 삭감 대상에는 공립수목원·공립박물관 조성, 원당역세권 발전계획, 킨텍스 지원부지 활성화, 창릉천 우수저류시설, 일산호수공원 북카페 조성 등 총 47건 주요 사업이 포함됐다. 이 가운데 상당수는 3차례 이상, 많게는 7차례나 반복적으로 삭감된 ‘단골 삭감사업’들이다. 번번이 삭감됐던 도시기본계획,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등 핵심 도시계획 사업들은 가까스로 편성은 됐으나 이 중 도시기본계획, 도로건설관리계획은 대폭 감액돼 실제 추진 시 차질이 불가피한 상태로 시는 보고 있다.
특히 이동환 시장은 인공지능·IT(정보기술) 기반 ‘거점형 스마트시티 사업’을 대표 사례로 들며 시의회를 비판했다. 이 시장은 “24시간 민원서비스, 교통흐름 최적화, 재난예방, 드론 순찰, 자율주행버스 등 시민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높일 스마트시티 사업은 단순한 예산 소비가 아니라 도시에 대한 혁신적 투자”라며 “정부가 약 400억원 중 절반을 지원하는데도, 시의회는 고양시 부담분조차 온전히 편성하지 않고 매번 삭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사업은 고양시가 전국 지자체와의 경쟁 끝에 국토부 공모에 선정된 것이다. 그러나 시의회 삭감으로 사업 자체가 흔들리는 상황이다. 이 시장은 “다른 지자체는 예산이 없어 하고 싶어도 못 하는 사업인데, 고양시의회는 스스로 하지 말자고 한다. 이것이 시민을 위한 결정인...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4922?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