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46% 김문수 33% 이준석 7% [엠브레인퍼블릭]
이재명 51% 김문수 31% 이준석 8% [한국갤럽]
'김문수·이준석 단일화'…찬성 38%·반대 43% [한국갤럽]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오늘 나온 여론조사 몇 개 살펴보겠습니다.
00:04후보 등록 이후의 여론조사입니다.
00:07정혁진 변호사님, 이재명 후보 46, 김문수 33, 이준석 7, 없다 모름, 무응답 13.
00:14이런 여론조사, YTN 여론조사가 있고요.
00:16또 하나 더 보겠습니다.
00:18뉴스1 여론조사는 이재명 51, 김문수 31, 이준석 8, 없다 모른다 9.
00:25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00:27숫자 어떻게 보셨어요?
00:28일단은 저 51% 나오는 걸 보면 사실은 대세다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00:33그 전에 나왔던 여론조사를 보면 46 대 33 대 7 아니겠습니까?
00:39저는 개인적으로 어떻게 생각하냐면요.
00:41이번 대선은 물론 이재명 대 김문수의 싸움이기도 하지만
00:45어떻게 보면 김문수 대 이준석의 싸움일 수도 있겠다라는 생각을 하는 게
00:51만약에 그 이준석 후보가 7%에서 조금 더 밑으로 내려가고
00:56그다음에 김문수 후보가 지금 30% 되지만 40%대로 올라가고
01:01그렇게 되면 이준석 후보 입장에서는 전략적으로 고민할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
01:07만약에 이준석 후보가 자기가 10% 이상 득표할 수 있다고 자신이 나오고
01:12그와 같은 수치가 나오면요.
01:14제가 봤을 때 100% 이준석은 완주할 거고 그러면 김문수 후보가 이길 가능성은 거의 없다라고 저는 판단이 되는데
01:22그 숫자가 두 자릿수 그러니까 10%에 좌우 걸릴 거다?
01:25네. 저는 그렇게 생각을 하는데.
01:27왜냐하면 10% 이상 득표하면 이준석은 그것만으로도 물론 이재명 대통령 당선된다고 하더라도
01:34이준석이 그야말로 실질적으로 가장 큰 성과를 얻은 두 번째로 성과를 얻은 사람이 될 것인데
01:40그런데 그게 아니고 만약에 이준석 후보의 지지율이 지지부진한다고 하면
01:45이준석 후보는 고민할 수밖에 없지 않겠습니까?
01:48그러면 단일화해서 다시 국민의힘으로 들어와서 국민의힘에서 어떤 모색을 하는 게
01:55본인의 정치적인 그러한 부분들에 있어서 훨씬 더 나을 수도 있다고 생각이 되고
01:59만약에 그렇게 된다고 하면 지금도 두 사람을 지지율로 합치면요.
02:0546대 40이란 말이에요.
02:07그다음에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이재명 후보는 박스권을 넘어가기가 쉽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거든요.
02:13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한 20일 남은 그 기간 동안에 김문수 후보가 어떻게 선전을 해서
02:19그러한 부분들을 단일화나 이런 부분들을 성취해낼 수 있을지 여부에 따라서
02:24이번 선거에 결판이 날 것이다. 저는 그런 생각합니다.
02:28예. 김문수 대 이준석의 싸움이 될 것 같다라는 정혁진 변호사의 개인적인 의견을 들어보셨습니다.
02:34또 다른 여론조사가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이건데요.
02:38양태정 부위원장. 지금 보면 김문수, 이준석 후보 단일화에 대한 견해를 물어봤어요.
02:43그랬더니 단일화하는 것이 좋다. 그러니까 38. 단일화하지 않는 것이 낫다. 43. 모르겠다. 19.
02:54이렇게 나왔습니다. 어떻게 보셨어요?
02:57우선 김문수 후보나 이준석 후보 두 후보 간의 정책적인 거라든가
03:03그런 캠프에서 추구하고 있는 방향이 전혀 맞지 않습니다.
03:08그래서 사실상 저런 식의 단일화는 정말 이런 정치적인 야함 내지는 정말 당선만을 위한
03:14사실 제대로 된 감동을 주지 않는 단일화이기 때문에 그렇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 있어서
03:20좀 반대하는 여론이 좀 더 높지 않았나 그런 생각이 되고요.
03:23사실 이제 뭐 김문수 후보 같은 경우는 계속 30%권에서 머물고 계신데
03:27그건 결국 이제 중도층에 대한 확장, 중도층에 대한 소구력이 많이 떨어지고 있지 않은가라는
03:32좀 이제 김문수 후보 측에서는 좀 우려가 있을 것 같습니다.
03:36결국 이제 이번 선거는 뭐 이제 탄핵을 넘어서서
03:40결국 이제 누가 국민 경제를 살리고 정책적인 부분 그리고 외교안보를 살리는
03:45그런 좀 이제 좀 생산적인 선거가 되어야 되는데
03:48그런 모습이 조금 보이지 않는 게 아닌가
03:51뭐 그런 우려가 여론조사에 반영된 걸로 보입니다.
03:53네, 여론조사 결과가 비슷한 것도 있고 좀 많이 차이 나는 것도 있습니다.
03:59전화 조사하는 방식에 따라서 숫자가 좀 다를 수 있다는 점
04:03여러분들께 말씀을 드리면서 앞으로 여론조사는 계속해서 발표가 될 겁니다.
04:08공표 금지 기간 전까지요.
04:10그 여론의 추이를 지켜보시는 것도 아마 이번 대선을 바라보는
04:14또 다른 관전 포인트가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