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10일 오후 경기도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4층 회의실. 6ㆍ3 조기 대선을 앞두고 ‘투ㆍ개표 절차 시연회’가 열렸다. 일각에서 제기하는 '부정 선거' 의혹을 차단하자는 취지다.
 
 우선 사전 투표부터 진행됐다. 선거인을 가장한 선관위 직원이 모의 신분증을 투표사무원 앞에 놓인 ‘본인확인기’ 위에 올리자, 투표사무원의 ‘명부단말기’와 연결된 ‘통합명부시스템(교육용)’에 주소ㆍ이름ㆍ생년월일 등 개인정보가 쭉 나왔다. 투표사무원은 통합명부시스템과 신분증 속 정보가 같은지 살폈다. 이상 없자 가상의 선거인은 안내에 따라 본인확인기에 엄지로 손도장을 찍었다. 이후 화면에 ‘O’ 표시와 함께 ‘정상적으로 안료되었습니다’란 문구가 표시됐다. 또 다른 투표사무원이 6명 후보의 이름이 적힌 투표지를 뽑아줬다.
 
선관위 관계자는 “선거인이 투표지를 받아 들면, 통합명부시스템에 ‘수령’ 표시가 기록된다”며 “위조 신분증을 이용한 중복 투표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선관위는 투표용지 발급 프린터에 ‘재투입방지’ 장치를 설치했다. 21대 총선 재검표 과정에서 제기된 일명 ‘배춧잎투표지’ 같은 논란을 원천적으로 배제하기 위해서다. 배춧잎투표지는 지역구 투표용지 하단에 푸른색 비례대표 투표용지 일부가 겹쳐 인쇄된 걸 말한다. 이번에 설치된 장치를 활용하면 투표사무원의 실수로 용지가 프린터밖으로 온전히 출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하는 중복인쇄를 방지할 수 있다고 선관위는 밝혔다.  
 
...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719?cloc=dailymotion

카테고리

🗞
뉴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