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조진혁 앵커
■ 출연 :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UP]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오늘 오후 1시를 넘기면 25%에 달하는 미국의 상호관세가 정식 발효됩니다. 국내 증시도 크게 요동칠 걸로 보이는데요 경제적 여파 어디까지 미칠지 짚어보겠습니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연구소장과 함께합니다. 미국이 오늘부터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를 상대로 25%, 최소 10%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게 됩니다. 가장 우리가 크게 체감할 수 있는 부분은 어떤 걸까요?
[김대호]
당장 수출품에 있어서 우리나라에서 미국으로 들어가는 수출품 모든 제품이 25%의 추가 관세을 맞게 됩니다. 지금 25%라고 발표하는데 총 관세가 25%라는 뜻은 아니고요. 기존 관세 플러스 25%입니다. 물론 한국과 미국 사이에 한미FTA 협정이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 매우 낮은 관세이기 때문에 25% 플러스 조금이라고 볼 수 있겠죠. 25% 관세가 붙으면 그 관세는 수출입을 하는 사람들이 물어야 되는데요.
현대차의 경우에 한국에서 생산해서 예를 들어서 미국에서 판다, 이러면 미국의 수입업자도 현대거든요. 그러면 결국 현대차라는 회사가 미국에서 파는 매출량의 25%를 추가로 세금으로 더 내야 된다. 1만 불 같으면 2만 5000불, 100만 달러면 2만 5000달러를 더 내야 되기 때문에 그만큼 가격부담. 그런데 25% 정도면 그동안 자동차 팔아서 낸 수익이 10%도 넘기기가 어렵거든요.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 그런데 그 매출액의 25%를 관세로 내라? 그러면 완전 적자에 빠진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가장 불똥이 떨어진 게 자동차 같은 수출업계의 가격 경쟁력이 크게 훼손될 거다, 이렇게 말씀을 해 주셨는데요. 그렇다면 트럼프 행정부가 이렇게 관세를 계속해서 밀어붙이는 이유표면적으로 미국의 무역적자를 관세를 통해서 줄이겠다라고 밝히고 있는데. 이게 실현 가능성이 있습니까?
[김대호]
아주 문제의 핵심포인트를 짚어주셨는데요. 상호관세라고 하니까 오해가 있을 수 있어요. 한국이 미국에 대해서 관세가 높으면 상호작용으로 미국도 한국에 대해서 높은 관세를 때린다. 이렇게 처음에는 이해한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나타난 트럼프의 관세폭탄에 보...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409084801984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 출연 :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UP]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오늘 오후 1시를 넘기면 25%에 달하는 미국의 상호관세가 정식 발효됩니다. 국내 증시도 크게 요동칠 걸로 보이는데요 경제적 여파 어디까지 미칠지 짚어보겠습니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연구소장과 함께합니다. 미국이 오늘부터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를 상대로 25%, 최소 10%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게 됩니다. 가장 우리가 크게 체감할 수 있는 부분은 어떤 걸까요?
[김대호]
당장 수출품에 있어서 우리나라에서 미국으로 들어가는 수출품 모든 제품이 25%의 추가 관세을 맞게 됩니다. 지금 25%라고 발표하는데 총 관세가 25%라는 뜻은 아니고요. 기존 관세 플러스 25%입니다. 물론 한국과 미국 사이에 한미FTA 협정이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 매우 낮은 관세이기 때문에 25% 플러스 조금이라고 볼 수 있겠죠. 25% 관세가 붙으면 그 관세는 수출입을 하는 사람들이 물어야 되는데요.
현대차의 경우에 한국에서 생산해서 예를 들어서 미국에서 판다, 이러면 미국의 수입업자도 현대거든요. 그러면 결국 현대차라는 회사가 미국에서 파는 매출량의 25%를 추가로 세금으로 더 내야 된다. 1만 불 같으면 2만 5000불, 100만 달러면 2만 5000달러를 더 내야 되기 때문에 그만큼 가격부담. 그런데 25% 정도면 그동안 자동차 팔아서 낸 수익이 10%도 넘기기가 어렵거든요.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 그런데 그 매출액의 25%를 관세로 내라? 그러면 완전 적자에 빠진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가장 불똥이 떨어진 게 자동차 같은 수출업계의 가격 경쟁력이 크게 훼손될 거다, 이렇게 말씀을 해 주셨는데요. 그렇다면 트럼프 행정부가 이렇게 관세를 계속해서 밀어붙이는 이유표면적으로 미국의 무역적자를 관세를 통해서 줄이겠다라고 밝히고 있는데. 이게 실현 가능성이 있습니까?
[김대호]
아주 문제의 핵심포인트를 짚어주셨는데요. 상호관세라고 하니까 오해가 있을 수 있어요. 한국이 미국에 대해서 관세가 높으면 상호작용으로 미국도 한국에 대해서 높은 관세를 때린다. 이렇게 처음에는 이해한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나타난 트럼프의 관세폭탄에 보...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409084801984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