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오늘


“원전 안전하다” 놓고 김문수-이재명 격돌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네, 김문수 후보 수도권 토론 시작하시죠.
00:04이재명 후보한테 묻겠습니다.
00:07지금 원전을 짓지 않고 어떻게 지금 AI 세계 3대 강국, 저도 3대 강국 하자 그러는데
00:17원전을 어떻게 할 것이냐, 이걸 더 늘리지 않고
00:22원전 부분에 대해서 과거에 문재인 대통령한테 한 탈원전 정책, 그건 잘못됐다고 생각하시죠?
00:30에너지 정책에 관해서는 원전이 필요하냐 안 하냐
00:35이게 일도 양단으로 판단할 수가 없다는 걸 먼저 말씀을 드리고요.
00:39요즘 말로 하면 에너지 믹스가 필요하다.
00:42원전도 필요하고 재생에너지도 필요하고
00:45그다음에 다른 에너지도 복합적으로 필요하죠.
00:48다만 그 비중을 어떻게 할 거냐.
00:50그 측면에서 원전은 기본적으로 위험하고 좀 치속성에 문제가 있다.
00:55그러니까 가능하면 원전을 활용은 하되 너무 과하지 않게
01:00재생에너지 중심 사회로 전환해 가자.
01:03이 말씀을 제가 드리는 겁니다.
01:04혹시 우리 이재명 후보께서 우리 두산중공업이나 원자력발전소를 만드는,
01:14원자로를 만든다든지 원자력발전소 가셔가지고 그게 얼마나 안전한지를 점검하는 그런 현장을 한번 가보셨습니까?
01:24그걸 꼭 현장을 가봐야 아는 건 아닌 것 같고
01:28폐기물 문제라든지 사고가 났을 때의 엄청난 피해 이런 것들을 고려하면
01:34가급적이면 원전을 피하는 게 좋은데
01:38기저전력으로 과연 원전을 완전히 지금 단계로 완전히 중단할 수 있냐 저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01:43가능한 범위 내에서 활용을 좀 하고
01:46대신에 지금 좀 더 안전한 SMR 같은 것들을 지금 연구개발하고 있잖아요.
01:53그걸 계속하고 안전하고 편의적이고 비용이 싸면 그런 것들은 써야죠.
02:00일도양단도 쓸 거냐 말 거냐 이렇게 하는 것은 너무 극단적이다.
02:04국가경영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죠.
02:05그런데 우리나라가 원전 건설하는 데 세계적인 선진 강국입니다.
02:14그래서 저는 원전의 반응로를 만든다든지 실제로 원자력발전소로 가서
02:21원자력안전연구소나 이런 데로 가서 점검을 해봤는데
02:25해보면 만약에 그 위에 원자폭탄 소형 원자폭탄 같은 게
02:32나가사키 히로시마에 떨어졌던 그런 정도가 떨어져도
02:36그 위에 원자로 반응을 하는 부분이 파괴되거나
02:41원자력 자체에 고장이 없습니다.
02:44그래서 굉장히 안전합니다.
02:46이걸 자꾸 문재인 대통령처럼 영화 하나 보고
02:51그냥 원전은 위험하다 이렇게 생각하는데
02:53원전이 위험하다는 이런 이야기가 잘 관리되는 원전은
02:58위험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안전하고 더 친환경적이다.
03:02이런 것은 인정하지 않습니까?
03:04저는 우리 김문수 후보님 말씀이 언제나 약간씩 어폐가 들어있어요.
03:09예를 들면 그렇게 안전하면 후쿠시마 원전 사고 왜 났습니까?
03:14체르노비는 왜 사고 났어요?
03:16대한민국의 원자로는 영원히 안전할 것이다.
03:18그거 어떻게 보장합니까?
03:19아닙니다.
03:19잠깐만 지금 당장은 눈으로 보기 안전할지 몰라도
03:23사고가 날 수 있죠.
03:25위험하죠.
03:27더하기.
03:28거기서 나오는 폐기물 처리 문제가 해결이 안 되고 있지 않습니까?
03:32그 두 가지 문제 때문에 가급적이면 안전한 재생에너지로 가자.
03:37대신에 그 사이에는 좀 섞어서 쓰자.
03:40그게 제 입장입니다.
03:41저도 재생에너지를 하지 말자는 것이 아니고요.
03:44원자력 발전소가 다른 폭력에 비해서 8분의 1, 비용이 8분의 1밖에 안 들고
03:50태양광에 비해서도 6분의 1도 안 됩니다.
03:54그래서 이렇게 값싸고 안전한 원자력을 왜 그동안 안 했느냐.
04:01이것이 잘못된 환경론자들의 주장 때문에 그런데 이런 부분에 대해서 이준석 후보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04:07실제로 맞는 지적을 하셨다고 생각하고요.
04:09지금 이재명 후보께서 결국엔 뭘 자꾸 발전시키겠다 이렇게 말씀하셔서
04:13비용 추계라든지 실제 어떻게 경쟁력을 갖출지에 대해서는 말씀을 잘 안 하고 계십니다.
04:18아까 AI 산업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김문수 후보님 말씀하신 것처럼 전력 확보가 제일 중요합니다.
04:24그런데 비용 구조상 아까부터 계속 강조하시는 서남해안의 풍력발전 같은 경우에는
04:29킬로와트당 균등화 발전 단가가 300원 가까이 가는 그런 발전이고
04:34김문수 후보님 말씀하시는 것은 한 50원, 60원 정도의 균등화 발전 단가가 원전인데
04:39어느 것이 더 효율적인지는 이미 드러나 있는 것이거든요.
04:42그런데 아마 이재명 후보께서 그런 아까 말씀하신 환경론자들의 말에 너무 많이 휘둘려가지고
04:47국가 대사를 판단하시는 게 아닌가 이런 우려가 있어서
04:50만약에 혹시 집권한 일이 생긴다 하더라도
04:53그런 환경 카르텔에 대한 입장을 계속 받아들여서 오히려 산업을 좀 저해시킬 것 같다.
04:59그런 우려가 오늘 토론하시는 걸 보니까 들게 됐습니다.
05:01두 분께서 저를 협공을 하면서 저한테는 기회를 안 주시네요.
05:05아니요.
05:06저는...
05:07그 다음에 지금 문제에 우리 이재명 후보가 이렇게 말씀드리는데
05:14이번에 이재명 후보께서는
05:17지금 주가 지수 5천 시대를 열겠습니다.
05:22지금 그런데 5천이 되면 저도 환영입니다.
05:27좋겠는데 이거 들은 분들이
05:29아, 이거 5천이라는 건 좀 심한 거 아니냐
05:33이렇게 보는 분들이 많은데
05:36우리 이준석 후보께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05:39이거 5천이 가능합니까?
05:40저는 주식을 잘 몰라서...
05:41저도 5천 하면 좋다 이런 생각을 하는데요.
05:44아마 이재명 후보께서 예전에 주식을 처음 경험하실 때
05:46조금 뭐 친구분의 권위나 이런 거로 작전주로 경험을 하셨다고
05:50본인이 얘기하신 바가 있거든요.
05:51그래가지고 이런 걸 너무 가볍게 생각하시는 게 아닌가
05:54좀 그런 인식인데
05:55당장 이번에 민주당에서 상법 개정안을 추진한 것에 대해서
05:58저는 개인적으로는 긍정적으로 평가합니다.
06:01대주주의 어떤 강압적인 물적 분할이라는 걸 통해가지고
06:04일반 주주들이 손해보는 상황 속에서는 주가가 안 오릅니다.
06:08그렇기 때문에 기업인이 자유롭게 경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
06:11또는 회사가 자기에게 맞는 판단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중요한데
06:14또 그 말만 하면 되는데 이재명 후보께서 표가 된다고 생각해서
06:18부산 가가지고는 또 H&M이니 또 SK 회원이니
06:21이런 것들 또 민간 기업인데
06:23잠시 민영화를 앞두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옮겨버리겠다 했습니다.
06:28그런 게 바로 주식시장에 있는 이재명 리스크다
06:30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06:31네. 저는 정말 그렇게 되면 좋겠는데 참...
06:35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