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아파트값 상승률 1위…송파구 4.28%
강남·서초구 3.52% 상승…1~3위 모두 강남 3구
조기 대선까지 정책 방향 불확실…양극화 심화할 듯
경기도 과천시 3.41% 오르며 전국 상승률 4위 기록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제 반짝 해제 영향으로 올해 1분기 강남 3구의 아파트값 상승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반면 서울 외곽 지역은 같은 기간 오히려 아파트값이 떨어지면서 양극화가 심화한 모양새입니다.
최두희 기자입니다.
[기자]
올해 1분기 아파트값이 전국 시군구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뛴 곳은 서울 송파구로 4.28% 정도 올랐습니다.
이어 강남구와 서초구가 나란히 3.52% 오르며 상승률 상위권은 모두 강남 3구 차지였습니다.
지난 2월 13일 서울시가 강남 일부 지역 토허제를 해제한 뒤 지난달 24일 토허제를 강남 3구와 용산구로 확대 재지정하기까지 아파트값이 급등했던 영향입니다.
강남 3구와 달리 노원, 도봉, 강북 등 서울 일부 외곽 지역은 1분기 누적 기준 아파트값이 오히려 하락세를 보이며 서울 내 양극화도 커졌습니다.
오는 6월 조기 대선 전까지 부동산 정책 방향이 불투명한 만큼 이 같은 양극화 현상은 더 뚜렷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김효선 /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 : (조기 대선 이후) 정책적 변화가 있을 수 있어서 거기에 따른 다른 방향성이 나타날 순 있겠지만 별다른 정책적 상황의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는 지금 같은 초양극화 현상이 더 확대될 것 같습니다.]
경기도에서는 강남권과 맞닿은 과천시가 3.41% 오르며 전국 시군구 상승률 4위를 기록했습니다.
토허제 반짝 해제 여파 등으로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은 이번 달에만 약 2조5천억 원 늘었습니다.
주택담보대출만 1조5천억 원 넘게 증가한 점이 눈에 띕니다.
한국은행이 다음 달 기준금리 인하를 시사한 데 이어 금융당국이 오는 7월 대출 규제를 강화하기로 한 만큼 대출 증가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YTN 최두희입니다.
영상편집 : 오훤슬기
디자인 : 이가은
YTN 최두희 (dh022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421012242783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강남·서초구 3.52% 상승…1~3위 모두 강남 3구
조기 대선까지 정책 방향 불확실…양극화 심화할 듯
경기도 과천시 3.41% 오르며 전국 상승률 4위 기록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제 반짝 해제 영향으로 올해 1분기 강남 3구의 아파트값 상승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반면 서울 외곽 지역은 같은 기간 오히려 아파트값이 떨어지면서 양극화가 심화한 모양새입니다.
최두희 기자입니다.
[기자]
올해 1분기 아파트값이 전국 시군구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뛴 곳은 서울 송파구로 4.28% 정도 올랐습니다.
이어 강남구와 서초구가 나란히 3.52% 오르며 상승률 상위권은 모두 강남 3구 차지였습니다.
지난 2월 13일 서울시가 강남 일부 지역 토허제를 해제한 뒤 지난달 24일 토허제를 강남 3구와 용산구로 확대 재지정하기까지 아파트값이 급등했던 영향입니다.
강남 3구와 달리 노원, 도봉, 강북 등 서울 일부 외곽 지역은 1분기 누적 기준 아파트값이 오히려 하락세를 보이며 서울 내 양극화도 커졌습니다.
오는 6월 조기 대선 전까지 부동산 정책 방향이 불투명한 만큼 이 같은 양극화 현상은 더 뚜렷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김효선 /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 : (조기 대선 이후) 정책적 변화가 있을 수 있어서 거기에 따른 다른 방향성이 나타날 순 있겠지만 별다른 정책적 상황의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는 지금 같은 초양극화 현상이 더 확대될 것 같습니다.]
경기도에서는 강남권과 맞닿은 과천시가 3.41% 오르며 전국 시군구 상승률 4위를 기록했습니다.
토허제 반짝 해제 여파 등으로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은 이번 달에만 약 2조5천억 원 늘었습니다.
주택담보대출만 1조5천억 원 넘게 증가한 점이 눈에 띕니다.
한국은행이 다음 달 기준금리 인하를 시사한 데 이어 금융당국이 오는 7월 대출 규제를 강화하기로 한 만큼 대출 증가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YTN 최두희입니다.
영상편집 : 오훤슬기
디자인 : 이가은
YTN 최두희 (dh022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421012242783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제 반짝 해제 영향으로 올해 1분기 강남 3구의 아파트값 상승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00:08반면 서울 외곽지역은 같은 기간 오히려 아파트값이 떨어지면서 양극화가 심화한 모양새입니다.
00:14최두희 기자입니다.
00:19올해 1분기 아파트값이 전국 시군구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뛴 곳은 서울 송파구로 4.28% 정도 올랐습니다.
00:26이어 강남구와 서초구가 나란히 3.52% 오르며 상승률 상류권은 모두 강남 3구 차지였습니다.
00:34지난 2월 13일 서울시가 강남 일부 지역 토허제를 해제한 뒤 지난달 24일 토허제를 강남 3구와 용산구로 확대 재지정하기까지 아파트값이 급등했던 영향입니다.
00:46강남 3구와 달리 노원, 도봉, 강북 등 서울 일부 외곽지역은 1분기 누적 기준 아파트값이 오히려 하락세를 보이며 서울 내 양극화도 커졌습니다.
00:57오는 6월 조기 대선 전까지 부동산 정책 방향이 불투명한 만큼 이 같은 양극화 현상은 더 뚜렷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01:05정책적인 변화가 있을 수는 있어서 거기에 따른 좀 다른 방향성이 나타날 수는 있겠지만
01:12그런 별다른 정책적인 상황에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는 지금 같은 초양극화 현상이 더 확대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01:19경기도에서는 강남권과 맞닿은 과천시가 3.41% 오르며 전국 시군구 상승률 4위를 기록했습니다.
01:29토허제 반짝 해제 여파 등으로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은 이번 달에만 약 2조 5천억 원 늘었습니다.
01:35주택담보대출만 1조 5천억 원 넘게 증가한 점이 눈에 띕니다.
01:41한국은행이 다음 달 기준금리 인하를 시사한 데 이어 금융당국이 오는 7월 대출 규제를 강화하기로 한 만큼
01:47대출 증가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01:52YTN 퓨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