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어제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제 반짝 해제 영향으로 올해 1분기 강남 3구의 아파트값 상승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반면 서울 외곽 지역은 같은 기간 오히려 아파트값이 떨어지면서 양극화가 심화한 모양새입니다.

최두희 기자입니다.

[기자]
올해 1분기 아파트값이 전국 시군구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뛴 곳은 서울 송파구로 4.28% 정도 올랐습니다.

이어 강남구와 서초구가 나란히 3.52% 오르며 상승률 상위권은 모두 강남 3구 차지였습니다.

지난 2월 13일 서울시가 강남 일부 지역 토허제를 해제한 뒤 지난달 24일 토허제를 강남 3구와 용산구로 확대 재지정하기까지 아파트값이 급등했던 영향입니다.

강남 3구와 달리 노원, 도봉, 강북 등 서울 일부 외곽 지역은 1분기 누적 기준 아파트값이 오히려 하락세를 보이며 서울 내 양극화도 커졌습니다.

오는 6월 조기 대선 전까지 부동산 정책 방향이 불투명한 만큼 이 같은 양극화 현상은 더 뚜렷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김효선 /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 : (조기 대선 이후) 정책적 변화가 있을 수 있어서 거기에 따른 다른 방향성이 나타날 순 있겠지만 별다른 정책적 상황의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는 지금 같은 초양극화 현상이 더 확대될 것 같습니다.]

경기도에서는 강남권과 맞닿은 과천시가 3.41% 오르며 전국 시군구 상승률 4위를 기록했습니다.

토허제 반짝 해제 여파 등으로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은 이번 달에만 약 2조5천억 원 늘었습니다.

주택담보대출만 1조5천억 원 넘게 증가한 점이 눈에 띕니다.

한국은행이 다음 달 기준금리 인하를 시사한 데 이어 금융당국이 오는 7월 대출 규제를 강화하기로 한 만큼 대출 증가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YTN 최두희입니다.


영상편집;오훤슬기
디자인;이가은




YTN 최두희 (dh022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420165923186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제 반짝 해제 영향으로 올해 1분기 강남 3구의 아파트값 상승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00:09반면 서울 외곽지역은 같은 기간 오히려 아파트값이 떨어지면서 양극화가 심화한 모양새입니다.
00:16최두희 기자입니다.
00:20올해 1분기 아파트값이 전국 시군구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뛴 곳은 서울 송파구로 4.28% 정도 올랐습니다.
00:28이어 강남구와 서초구가 나란히 3.52% 오르며 상승률 상류권은 모두 강남 3구 차지였습니다.
00:36지난 2월 13일 서울시가 강남 일부 지역 토허제를 해제한 뒤 지난달 24일 토허제를 강남 3구와 용산구로 확대 재지정하기까지 아파트값이 급등했던 영향입니다.
00:48강남 3구와 달리 노원, 도봉, 강북 등 서울 일부 외곽지역은 1분기 누적 기준 아파트값이 오히려 하락세를 보이며 서울 내 양극화도 커졌습니다.
00:58오는 6월 조기 대선 전까지 부동산 정책 방향이 불투명한 만큼 이 같은 양극화 현상은 더 뚜렷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01:06정책적인 변화가 있을 수는 있어서 거기에 따른 좀 다른 방향성이 나타날 수는 있겠지만
01:13그런 별다른 정책적인 상황에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는 지금 같은 초양극화 현상이 더 확대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01:21경기도에서는 강남권과 맞닿은 과천시가 3.41% 오르며 전국 시군구 상승률 4위를 기록했습니다.
01:30토허제 반짝 해제 여파 등으로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은 이번 달에만 약 2조 5천억 원 늘었습니다.
01:37주택담보대출만 1조 5천억 원 넘게 증가한 점이 눈에 띕니다.
01:42한국은행이 다음 달 기준금리 인하를 시사한 데 이어 금융당국이 오는 7월 대출 규제를 강화하기로 한 만큼
01:48대출 증가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01:54YTN 큐드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