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최근 일선 학교 교사들이 현장 체험 학습을 꺼리고 있습니다.

체험 학습 중에 발생한 학생 사고에 법원이 인솔 교사에게 형사 책임을 물었기 때문인데요.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큽니다.

홍성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 2022년,

강원도 속초로 현장 체험 학습을 간 초등학생이 타고 온 버스에 치여 숨졌습니다.

인솔 책임자인 담임교사는 학생들 앞에 있었고, 사고를 당한 학생은 맨 뒤에 있었습니다.

사고 2년 3개월 만에 1심 재판부는 교사 A 씨에게 안전 주의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며 금고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습니다.

항소심이 예정된 가운데, 교육계 반발이 이어졌습니다.

"(교사)선처를 호소한다! 호소한다! 호소한다!"

예측 불가능한 사고 책임을 인솔교사에게 지게 한다면, 현장 체험 학습은 더는 할 수 없다고 교사들은 입을 모았습니다.

실제로 학기가 시작됐지만 강원지역 전체 초등학교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학교가 현장체험학습 진행 여부를 여전히 논의 중이거나 축소 또는 취소했습니다.

[강원지역 일선 초등학교 교사 : (현장 체험학습을) 더 가는 거에 대해서 부담스러워하고, 이거 가야 하느냐? 이러면서 이제 안 가는 추세로 이(교사 처벌) 이유를 근거로 아예 우리는 현장 체험 안 간다, 이렇게 얘기한 학교도 있고요.]

현장 체험 학습을 준비하는 교사들의 부담은 실제로 컸습니다.

강원지역 교사 1,352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 조사.

절반이 넘는 교사가 현장 체험 학습을 축소 또는 연기, 취소했다고 답했고,

82.4%가 법적 보호장치가 마련될 때까지 현장 체험학습을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학교 안전사고에 관한 민형사상 책임이 면제되는 학교안전법이 오는 6월 시행되지만, 교사 10명 중 9명은 효과가 없거나 근본적인 해결은 되지 않을 것이라며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습니다.

[최고봉 / 전교조 강원지부장 : 구체적인 대책과 현실적인 법과 제도 개선이 없다면 현장 체험학습은 교사들에게 두려움과 회피의 대상이 될 뿐입니다.]

교사들은 멀리 버스를 타고 이동하는 찾아가는 체험학습 대신, 전문 강사나 공연팀을 학교로 초청하는 찾아오는 체험학습이 확산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현장 체험학습 시행 여부를 결정할 때 교장, 교감 등 관리자가 아닌 일선 교사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 (중략)

YTN 홍성욱 (hsw0504@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0420014633044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최근 일선 학교 교사들이 현장 체험 학습을 꺼리고 있습니다.
00:04체험 학습 중에 발생한 학생 사고에 법원이 인솔 교사에게 형사 책임을 물었기 때문인데요.
00:10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큽니다. 홍성욱 기자입니다.
00:16지난 2022년 강원도 속초로 현장 체험 학습을 간 초등학생이 타고 온 버스에 치어 숨졌습니다.
00:23인솔 책임자인 담임 교사는 학생들 앞에 있었고 사고를 당한 학생은 맨 뒤에 있었습니다.
00:28사고 2년 3개월 만에 1심 재판부는 교사 A씨에게 안전주의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며 금고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습니다.
00:37항소심이 예정된 가운데 교육계에 반발이 이어졌습니다.
00:46예측 불가능한 사고 책임을 인솔 교사에게 지게 한다면 현장 체험 학습은 더는 할 수 없다고 교사들은 입을 모았습니다.
00:52실제로 학계가 시작됐지만 강원 지역 전체 초등학교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학교가 현장 체험 학습 진행 여부를 여전히 논의 중이거나 축소 또는 취소했습니다.
01:03더 가는 거에 대해서 부담스러워하고 이거 가야 되냐 이러면서 안 가는 추세로 이 이유를 근거로 아예 우리는 현장 체험 안 간다 이렇게 얘기한 학교도 있고요.
01:15현장 체험 학습을 준비하는 교사들의 부담은 실제로 컸습니다.
01:19강원 지역 교사 1,352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
01:22절반이 넘는 교사가 현장 체험 학습을 축소 또는 연기, 취소했다고 답했고 82.4%가 법적 보호장치가 마련될 때까지 현장 체험 학습을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01:36학교 안전 사고에 관한 민형사상 책임이 면제되는 학교안전법이 오는 6월 시행되지만 교사 10명 중 9명은 효과가 없거나 근본적인 해결은 되지 않을 것이라며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습니다.
01:48구체적인 대책과 현실적인 법과 제도 개선이 없다면 현장 체험 학습은 교사들에게 두려움과 회피의 대상이 될 뿐입니다.
01:59교사들은 멀리 버스를 타고 이동하는 찾아가는 체험 학습 대신 전문 강사나 공연팀을 학교로 초청하는 찾아오는 체험 학습이 확산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02:08또 현장 체험 학습 시행 여부를 결정할 때 교장, 교감 등 관리자가 아닌 일선 교사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02:17YTN 홍서욱입니다.
02:18다음 영상에서 만나요.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