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그저께
한라산 국립공원 근처 오름에서 불법 무속 행위가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인적이 드물고 산세가 험한 곳에서 몰래 이뤄져 단속이 어려운 데다 불법 소각 행위까지 더해져 봄철 산불 위험도 커지고 있습니다.

KCTV 제주방송 김경임 기자입니다.

[기자]
탐방로가 없는 한라산 인근 오름.

무성히 자란 수풀 사이를 헤치고 들어가자 나무에 달려 있는 오색 끈이 눈에 띕니다.

깊은 산 속에 형형색색의 끈이 여기저기 묶여있어 을씨년스럽기까지 합니다.

누군가 이곳에서 무속 행위를 한 겁니다.

이 일대는 오래된 나무와 바위, 계곡이 어우러진 기도터로 알려지며 무속인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무속인 : 기도터를 찾았습니다. 아휴, 옛날에 그렇게 많이 왔었는데. 들어오는 입구가 달라진 것 같아요, 옛날이랑.]

주변에는 의식에 사용했던 부적이나 옷가지 등을 태운 흔적들이 덩그러니 남아있습니다.

여기저기를 둘러보니 바위 곳곳에서 타다만 양초들이 쉽게 발견됩니다.

"이쪽에도 여러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평평한 돌을 이용해 아예 재단을 만들어 두는가 하면,

근처 수풀에는 기도할 때 사용하기 위한 돗자리가 숨겨져 있기도 합니다.

이렇게 바위틈마다 무속 행위를 하며 사용했던 양초들이 버려져 있습니다.

근처에 있는 계곡도 상황은 마찬가지.

바위 아래 공간에는 타다만 초와 촛농이 마구 뒤섞여 있습니다.

바위 표면을 손으로 살짝 만지자, 검은 그을음이 잔뜩 묻어납니다.

곳곳에 누군가의 이름과 정체 모를 단어들이 쓰여 있기도 합니다.

문제는 무속 행위를 하는 과정에서 자연훼손뿐 아니라 초를 사용하거나 불법 소각 행위가 이뤄지고 있는 점입니다.

요즘처럼 바람이 많이 불고 건조한 봄철에는 주위 나뭇잎이 메마르면서 산불 위험이 높은데, 특히 이 일대는 한라산 국립공원 경계에 위치해 대형 산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현장 근처에서는 검게 타버린 나무가 발견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인적이 드물고 지형이 험해 접근이 어려운 산속에서 몰래 이뤄지다 보니 사실상 단속도 쉽지 않은 상황.

단속을 피해 불법 무속 행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제주의 산과 계곡이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KCTV 뉴스 김경임입니다.






YTN 김경임 kctv (kimmj022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0420010157192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00:00한라산 국립공원 근처 오름에서 불법 무속 행위가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00:06인적이 드물고 산세가 험한 곳에서 몰래 이뤄져 단속이 어려운데다가
00:10불법 소각 행위까지 더해져 봄철 산불 위험도 커지고 있습니다.
00:15KCTV 제주방송 김경임 기자입니다.
00:21탐방로가 없는 한라산 인근 오름.
00:24무성이 자란 수풀 사이를 해치고 들어가자 나무에 달려있는 오색끈이 눈에 띕니다.
00:31깊은 산 속에 형형색색의 끈이 여기저기 묶여 있어 의신련스럽기까지 합니다.
00:38누군가 이곳에서 무속 행위를 한 겁니다.
00:42이 일대는 오래된 나무와 바위, 계곡이 어우러진 기도터로 알려지며
00:48무속인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00:54주변에는 의식에 사용했던 부적이나 옷가지 등을 태운 흔적들이 덩그러니 남아있습니다.
01:08여기저기를 둘러보니 바위 곳곳에서 타담한 양초들이 쉽게 발견됩니다.
01:14이쪽에도 여러 흔적들이 남아있습니다.
01:19평평한 돌을 이용해 아예 재단을 만들어두는가 하면
01:24근처 수풀에는 기도할 때 사용하기 위한 돗자리가 숨겨져 있기도 합니다.
01:30이렇게 바위 틈마다 무속 행위를 하는 과정에서 사용했던 양초들이 버려져 있습니다.
01:36근처에 있는 계곡도 상황은 마찬가지.
01:41바위 아래 공간에는 타담한 초와 촌농이 마구 뒤섞여 있습니다.
01:46바위 표면을 손으로 살짝 만지자 검은 그으름이 잔뜩 묻어납니다.
01:52곳곳에 누군가의 이름과 정체모를 단어들이 쓰여 있기도 합니다.
01:57문제는 무속 행위를 하는 과정에서 자연 훼손뿐만 아니라
02:03초를 사용하거나 불법 소각 행위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겁니다.
02:08요즘처럼 바람이 많이 불고 건조한 봄철에는
02:12주위 나뭇잎이 메마르면서 산불 위험이 높은데
02:16특히 이 일대는 한라산 국립공원 경계에 위치해
02:20대형 산불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02:22실제로 현장 근처에서는 검게 타버린 나무가 발견되기도 합니다.
02:29하지만 인적이 드물고 지형 위험에 접근이 어려운 산속에서
02:33몰래 이뤄지다 보니 사실상 단속도 쉽지 않은 상황.
02:38단속을 피해 불법 무속 행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02:42제주의 산과 계곡이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02:46KSTV 뉴스 김경임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