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이 상호관세 발효를 전격 유예하면서 우리 기업들은 일단 한숨 돌렸습니다.
다만 오락가락 정책으로 불확실성이 커진 데다가 미·중 관세전쟁까지 격화하면서 불안감은 여전합니다.
반면 협상 카드로 거론된 조선업은 트럼프 대통령이 외국 선박 구입 가능성을 직접 언급하면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최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국이 상호관세 발효 13시간 만에 유예를 전격 발표하면서 우리 기업들은 일단 급한 불은 껐습니다.
90일 동안 중국을 뺀 다른 나라에 기본관세 10%만 매기기로 하면서 우리나라 관세도 25%에서 10%로 낮아졌습니다.
다만 상호관세와 별개로 자동차와 철강에 부과된 품목별 관세 25%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수출 효자' 반도체도 사정권에 들었습니다.
[안덕근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지난 9일) : 반도체나 목재, 구리 이런 것들이, 남아 있는 제약 이런 데도 마찬가지 25%가 예외 없이 부과되는 게 아닌가 하는….]
무엇보다 기업들을 힘들게 하는 건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불확실성'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오락가락 관세 정책에 어느 장단에 맞춰 경영 전략을 짜야 할지 혼란스러워졌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장군 멍군하며 미·중 관세전쟁이 전면전으로 치닫는 것도 큰 불안 요소입니다.
[장상식 /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 : 한국은 미국, 중국이 최대 수출국인데요. 미·중 간 갈등은 양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경기를 둔화시켜 수출 수요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중국 제품의 미국 진출이 막히면서 제3국 시장에서 한·중 간 경합이 높아지는….]
일단 90일의 시간을 번 만큼 정부의 협상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습니다.
정부는 조선, 에너지 분야 협력과 비관세 장벽 개선 등을 협상 카드로 쓸 계획입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맞서 해양 패권 회복을 선언하면서 한국 조선업과의 협력은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미국과 가깝고 조선 실적이 훌륭한 다른 나라에서 선박을 구매할 수도 있습니다.]
미국은 '존스법'에 따라 자국에서 건조된 선박만 운항이 가능하도록 규제하고 있는데, 만약 트럼프 정부가 이를 개정한다면 한국 조선업에는 대규모 수주 기회가 열리게 됩니다.
여기에 6월 조기 대선으로 리더십 공백이 해소된 상태에서 새 정부가 트... (중략)
YTN 최아영 (jelee@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413142848028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미국이 상호관세 발효를 전격 유예하면서 우리 기업들은 일단 한숨 돌렸습니다.
다만 오락가락 정책으로 불확실성이 커진 데다가 미·중 관세전쟁까지 격화하면서 불안감은 여전합니다.
반면 협상 카드로 거론된 조선업은 트럼프 대통령이 외국 선박 구입 가능성을 직접 언급하면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최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국이 상호관세 발효 13시간 만에 유예를 전격 발표하면서 우리 기업들은 일단 급한 불은 껐습니다.
90일 동안 중국을 뺀 다른 나라에 기본관세 10%만 매기기로 하면서 우리나라 관세도 25%에서 10%로 낮아졌습니다.
다만 상호관세와 별개로 자동차와 철강에 부과된 품목별 관세 25%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수출 효자' 반도체도 사정권에 들었습니다.
[안덕근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지난 9일) : 반도체나 목재, 구리 이런 것들이, 남아 있는 제약 이런 데도 마찬가지 25%가 예외 없이 부과되는 게 아닌가 하는….]
무엇보다 기업들을 힘들게 하는 건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불확실성'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오락가락 관세 정책에 어느 장단에 맞춰 경영 전략을 짜야 할지 혼란스러워졌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장군 멍군하며 미·중 관세전쟁이 전면전으로 치닫는 것도 큰 불안 요소입니다.
[장상식 /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 : 한국은 미국, 중국이 최대 수출국인데요. 미·중 간 갈등은 양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경기를 둔화시켜 수출 수요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중국 제품의 미국 진출이 막히면서 제3국 시장에서 한·중 간 경합이 높아지는….]
일단 90일의 시간을 번 만큼 정부의 협상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습니다.
정부는 조선, 에너지 분야 협력과 비관세 장벽 개선 등을 협상 카드로 쓸 계획입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맞서 해양 패권 회복을 선언하면서 한국 조선업과의 협력은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미국과 가깝고 조선 실적이 훌륭한 다른 나라에서 선박을 구매할 수도 있습니다.]
미국은 '존스법'에 따라 자국에서 건조된 선박만 운항이 가능하도록 규제하고 있는데, 만약 트럼프 정부가 이를 개정한다면 한국 조선업에는 대규모 수주 기회가 열리게 됩니다.
여기에 6월 조기 대선으로 리더십 공백이 해소된 상태에서 새 정부가 트... (중략)
YTN 최아영 (jelee@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413142848028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트랜스크립트
00:00미국이 상호관세 발교를 전격 유예 가면서 우리 기업들은 일단 한숨 돌렸습니다.
00:07다만 오락가락 정책으로 불확실성이 커진 데다 미중 관세 전쟁까지 격화하면서 불안감은 여전한데요.
00:15반면 협상 카드로 거론된 조선업은 트럼프 대통령이 외국 선박 구입 가능성을 직접 언급하면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00:23최하영 기자입니다.
00:24미국이 상호관세 발효 13시간 만에 유예를 전격 발표하면서 우리 기업들은 일단 급한 불은 껐습니다.
00:3590일 동안 중국을 뺀 다른 나라의 기본 관세 10%만 매기기로 하면서 우리나라 관세도 25%에서 10%로 낮아졌습니다.
00:44다만 상호관세와 별개로 자동차와 철강에 부과된 품목별 관세 25%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00:51수출 효자 반도체도 사정권에 들었습니다.
01:05무엇보다 기업들을 힘들게 하는 건 한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불확실성입니다.
01:10트럼프 대통령의 오락가락 관세 정책에 어느 장단에 맞춰 경영 전략을 짜야 할지 혼란스러워졌기 때문입니다.
01:17게다가 장군 멍군하며 미중 관세 전쟁이 전면전으로 치닫는 것도 큰 불안 요소입니다.
01:24한국은 미국, 중국이 최대 수출 국가인데요.
01:28미중 간 갈등은 양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경기를 둔화시켜 수출 수요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01:36중국 제품에 미국 진출이 막히면서 제3국 시장에서 한중 간 경합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01:43일단 90일의 시간을 번 만큼 정부의 협상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습니다.
01:48정부는 조선 에너지 분야 협력과 비관세 장벽 개선 등을 협상 카드로 쓸 계획입니다.
01:55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맞서 해양 패권 회복을 선언하면서
01:59한국 조선업과의 협력은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02:11미국은 존스법에 따라 자국에서 건조된 선박만 운항이 가능하도록 규제하고 있는데
02:16만약 트럼프 정부가 이를 개정한다면 한국 조선업에도 대규모 수주 기회가 열리게 됩니다.
02:22여기에 6월 조기 대선으로 리더십 공백이 해소된 상태에서
02:27새 정부가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협상에 나설 수 있게 됐다는 점도 긍정적인 부분입니다.
02:33YTN 최하영입니다.
02:34기상캐스터 배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