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김선영 앵커, 정지웅 앵커
■ 출연 : 정철진 경제 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NOW]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트럼프발 관세 정책, 전 세계에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오늘 우리 증시도 폭락하며한때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되기도 했는데요.
관련 내용 정철진 경제 평론가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걱정을 했는데 결국 블랙먼데이가 된 거죠?
[정철진]
네, 그렇게 시작을 했습니다. 당초 금요일, 목요일 모두 뉴욕증시가 모두 무너졌고요. 오늘 국내 증시 2400선이 깨져서 현재 시각 2340에서 2350선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 지수를 보면 우리가 작년 12월에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하고 그다음 날, 그때 우리가 한번 2400이 깨졌었는데 당시에는 어쨌든 그때 문제가 국회가 다시 소집되면서 빠른 반등을 이뤄냈었는데요.
현재 큰 문제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이 거의 불확실성의 끝판왕이거든요. 그래서 시장이 오히려 V자 반등은커녕 추가 하락에 대한 걱정을 하고 있는 상태다, 이렇게 보시면 될 것 같고요. 그래도 이걸 좋아라 할지 울어야 할지 모르겠지만 코스피 증시는 그동안 미국이라든가 유럽 대비 못 갔잖아요. 그래서 오늘만 놓고 보면 우리의 낙폭이 상대적으로 좀 적은 편입니다. 홍콩증시라든지 대만, 일본 거의 10% 가까운 대폭락이 나오고 있는 반면에 우리는 한 4~5% 정도 하락이거든요. 우리는 또 나름대로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라는 호재가 있었지 않겠습니까? 이런 것들이 그나마 시장을 방어하고 있다, 이렇게 보여집니다.
장 초반에 5% 폭락하면서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되기도 했는데 이건 어떤 상황에서 나오는 겁니까?
[정철진]
보통 시장이 크게 떨어지거나 많이 오르거나 할 때 사이드카 그다음에 서킷브레이커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시장의 열기, 충격을 완화하는 정책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사이드카 같은 경우에는 현물이 아닙니다. 선물의 움직임이 플러스 5% 이상 폭등하거나 마이너스 5% 이상 급락하거나 할 때 일단 프로그램 매매를 막는 거예요. 선물을 중단하게 되면서 프로그램 매매를 막게 되면서, 약 5분간입니다. 그런 다음에 시장을 식혔다가 재개하는 것을 사이드카라고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407131620842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 출연 : 정철진 경제 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NOW]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트럼프발 관세 정책, 전 세계에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오늘 우리 증시도 폭락하며한때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되기도 했는데요.
관련 내용 정철진 경제 평론가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걱정을 했는데 결국 블랙먼데이가 된 거죠?
[정철진]
네, 그렇게 시작을 했습니다. 당초 금요일, 목요일 모두 뉴욕증시가 모두 무너졌고요. 오늘 국내 증시 2400선이 깨져서 현재 시각 2340에서 2350선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 지수를 보면 우리가 작년 12월에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하고 그다음 날, 그때 우리가 한번 2400이 깨졌었는데 당시에는 어쨌든 그때 문제가 국회가 다시 소집되면서 빠른 반등을 이뤄냈었는데요.
현재 큰 문제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이 거의 불확실성의 끝판왕이거든요. 그래서 시장이 오히려 V자 반등은커녕 추가 하락에 대한 걱정을 하고 있는 상태다, 이렇게 보시면 될 것 같고요. 그래도 이걸 좋아라 할지 울어야 할지 모르겠지만 코스피 증시는 그동안 미국이라든가 유럽 대비 못 갔잖아요. 그래서 오늘만 놓고 보면 우리의 낙폭이 상대적으로 좀 적은 편입니다. 홍콩증시라든지 대만, 일본 거의 10% 가까운 대폭락이 나오고 있는 반면에 우리는 한 4~5% 정도 하락이거든요. 우리는 또 나름대로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라는 호재가 있었지 않겠습니까? 이런 것들이 그나마 시장을 방어하고 있다, 이렇게 보여집니다.
장 초반에 5% 폭락하면서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되기도 했는데 이건 어떤 상황에서 나오는 겁니까?
[정철진]
보통 시장이 크게 떨어지거나 많이 오르거나 할 때 사이드카 그다음에 서킷브레이커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시장의 열기, 충격을 완화하는 정책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사이드카 같은 경우에는 현물이 아닙니다. 선물의 움직임이 플러스 5% 이상 폭등하거나 마이너스 5% 이상 급락하거나 할 때 일단 프로그램 매매를 막는 거예요. 선물을 중단하게 되면서 프로그램 매매를 막게 되면서, 약 5분간입니다. 그런 다음에 시장을 식혔다가 재개하는 것을 사이드카라고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407131620842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카테고리
🗞
뉴스